안녕하세요
오늘은 동탄에 위치한 북광장 공영주차장에 대해서 글을 적어봅니다.
볼일이 있어 북광장에 차를 타고 가면 엄청 주차하기가 힘이 듭니다. 여기저기 불법주차가 상당히 많아서 힘든 주차구역으로 유명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D10495D6BD10C22)
그런데 얼마전 대대적으로 화성시에서 번화가인 이곳에 많은 투자를 한듯합니다.
한동안 땅을 파헤치고 공사를 한참 하더니 생긴 이 정체는 주차관련 시설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69C3F5D6BD11E26)
우리나라에서 잘 볼 수 없는 그런 건데요. 여기에 달린 카메라가 번호판을 인식하고 주차료를 부과하는 시스템으로 보입니다. 주차를 원하시는 분들에겐 상당히 좋은 제도입니다만, 제가 볼땐 결국 불법주차를 방지하겠다는 의도가 숨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A793A5D6BD13136)
사실상 동탄의 환락가인 남광장, 북광장의 주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행정이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장단점을 논하기에는 조금 이르지만, 좋아보이기는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E704B5D6BD1371B)
좀 더 자세한 이용방법이나 사용법등을 홍보하고, 알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쉽게 찾아볼 수는 없었습니다.
그냥 이게 주차에 관한 건데, 현장에서는 자세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3A7485D6BD14A21)
교통카드로 결제하고, 주차요금을 내는 건 알겠지만, 요금은 얼마며 해택은 무엇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주차했으니 정산하라는 소리로 이해되었습니다.
조금 아쉬운 시설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A2A335D6BD16207)
그럼, 이제 동탄 북광장 한빛공영주차장에 대해 알아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ED7355D6BD18D27)
기간제인원을 채용한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0023F5D6BD6E62E)
상세한 내용은 화성도시공사에 있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F2A365D6BD70239)
한빛공영주차장 지상주차장 이용안내에 대한 표지판입니다. 자세한 금액은 지워진 상태입니다.
연중 24시간
자동정산 이용방법
카드전용 신용카드, 체크카드, 티머니카드
현금결제는 불가능
주차요금의 경우 현재 비워져 있습니다.
무슨 문제가 있는건지는 모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B42475D6BD71829)
이 표지판은 높게 제작되어서 솔직히 불편합니다만. 1시간 30분이 최초 1회 무료라는데 정확히 머가 맞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9B4445D6BD72D2F)
출차하는 입구가 상당히 좁고, 사고 발생을 유발할 것 같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58C445D6BD75B2E)
이 콘크리트 도색 블럭이 상당히 좁게 느껴집니다. 개선이 필요할 듯 하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6754E5D6BD7C532)
이 주차장의 큰 장점이 있습니다. 주차대수도 좀 되는 것 뿐만 아니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A323E5D6BD7CF09)
차량과 차량사이에 유격을 상당히 두어서 주차하기도 편하고 내리고 탈 때 문콕의 염려가 없다는 것입니다.
개인소견1. 동탄의 공영주차장 넓고 최근 개보수2. 운영에 대한 정보 불확실
3. 출입 블럭 좁아 불편
이상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계속 모니터링으로 정보 업데이트를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