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유체가 넓은 곳에서 좁은곳으로 고속으로 유입되거나, 벽면에 요철이 있거나 만곡부가 있으면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저압부에 기포가 발생하여 공동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2. 문제점 (1) 상수도 : 수격작용, 관 파손 (2) 저압의 유수 중에서 생기는 기포가 고압의 흐름에 들어가서 부서지면서 콘크리트 표면박리 (3) 교각, 기초 : 세굴, 침하, 파손 3. 공동현상 방지대책(상수도관) (1) 관경을 크게 (2) 유속이 일정하게 관리 (3) 중간밸브를 설치 (공동현상 발생시 에어제거) (4) 관로에 자동수압조절밸브를 설치 (5) 펌프토출부 부압발생장소에 공기변을 설치
1. 예시도 사진 출처 : naver 2. 개요 1) 물이 관로속을 흐르고 있을때 관로의 하류부분에 있는 밸브를 갑자기 닫으면 물의 흐름이 감속되어 물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화되어 밸브의 직전에서 고압이 발생하고 이 고압의 물은 상류의 탱크를 향하여 되돌아 가고 탱크에 도달하면 다시 밸브쪽으로 향하게 되는 이른바 관내부에 탄성파가 반복되는 것을 수격작용이라 한다. 2) 관이 작을수록, 유속이 빠를수록, 굴곡개소가 많을수록, 밸브를 닫는 시간이 빠를수록 관이나 밸브가 파괴되는 수가 있다. 3. 방지대책 1) 관경이 크게하고 서서히 잠근다. 2) 굴곡배관을 억제하고 될 수 있는 대로 직관배관으로 한다. 3) 조압수조(surge tank)를 설치 4) 관로에 자동수압조정 밸브를 설치 5) 펌프토출부 부..
1. 계측목적 (1) 붕괴조짐이 있어 관측이 필요한 곳 (2) 붕괴후 대책공법 (구배완화, 앵커공, 지하수위 저하공)의 유효성 확인과 향후 진행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3) 계측결과 변위로부터 역해석하기 위한 곳 (4) 주기적인 계측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일 사태 발생시 복구, 대피를 위해 거동추이 파악이 필요한 경우 (5) 간극수압을 파악하여 사면안정 검토를 실시하려는 경우 2. 설치시기 (1) 붕괴전 동태관측 계측시 : 붕괴조짐이 있는 것 확인 후 필요한 계측기를 설치 (2) 붕괴후 대책공법 계측시 : 대책공법전에 계측기를 매설하여 대책공법의 효과, 변형량, 간극수압 변화를 관찰 3. 설치방법 (1) 신축계 표고, 좌표를 측정해 두고 균열의 간격 및 변화를 잴 수 있도록 균열 외부에 설치 (2) 변위말뚝..
1. 개요 절토비탈면의 안정은 토질 또는 암반의 상태에 크게 좌우되며 성토비탈면과는 달리 지질, 지층, 지하수위 등의 구성이 복잡하여 붕괴가능성 유무에 대한 검토와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2. 붕괴원인 비탈면 내부에 전단응력이 발생하여 전단강도를 초과하면 붕괴가 일어난다. (1) 전단응력 증가원인(외적인 원인) 1) 하중의 증가 - 함수비 증가로 인한 흙의 단위중량 증가 - 비탈면 높이와 기울기의 증가 2) 발파, 공사용 기계의 충격으로 진동이 발생 3) 지하수위의 변동으로 인한 수압의 변화 (2) 전단강도 감소원인(내적인 원인) 1) 풍화작용 : 동결융해, 건조수축 2) 점성토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균열발생 3) 사질토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유동화 4) 내부수압의 증대 이상의 요인들이 단독 또는 누적되어 ..
1. 개요 1) 댐제체나 기초지반 내를 침투수에 의해 흙의 입자가 이동하게 되면서 pipe처럼 공동이 생기면서 세굴되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즉, 침투수를 하류법면에 투출케하는 압력과 유속이 제체를 구성하는 토립자를 유하시킬만큼 증대되면 piping 현상이 발생한다. 2) 침투압 증가 -> 유효응력감소(전단강도 상실) -> Quick Sand -> Boiling -> piping 3) Fs = 하향의 흙의 무게 / 상향의 침투력 >= 1.5 2. 발생원인 1) 기초처리 불량 (1) 차수목적으로 설치한 Grouting 불량 (2) 연약지반처리 불량 (3) 댐 제체와 기초경계부 시공불량 (4) 투수성 기초지반처리 불량 2) 댐 제체 원인 (1) 단면부족 (2) 재료선정 및 다짐불량 (3) Filter층 잘못 ..
1. 순서 (1)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2) 건물쪽에서 바깥쪽으로 (기존구조물 부근일 경우) (3) 육지에서 해안쪽으로 (지표면이 한쪽으로 경사되어 있을 경우) 2. 작업시 주의사항 (1) 타설순서는 주변 구조물의 변위를 고려 (2) 초기 타설시 서서히 관입해서 시공정밀도 도모 (3) 타설도중 부득이한 중단이나 장시간의 중단을 피한다. (4) 지지층에 도달했을 경우 관입깊이를 정확히 체크 (5) 이음부의 결합은 허용오차의 범위내에서 수정 (6) 타설중 이상 (말뚝파손, Cap Cushion 불량, 말뚝이 어긋나는 경우)시 즉시 타입을 중단하고 대책을 세운다.
1. 정의 구조물의 기초지반이 침하함에 따라, 구조물의 여러 부분에서 불균등하게 침하를 일으키는 현상 2. 부등침하의 원인과 대책 (1) 지반의 원인과 대책 1) 지반의 연약화 : 중량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어도 중앙부의 지중응력이 크다. 2) 연약지반의 두께가 다를 경우 : 압축량의 차이로 발생 3) 동적하중에 의한 사질토 지반의 액성화에 의한 침하 4) 지반개량시 상재하중을 단시간에 과도하게 적하한 경우 5) 지하수위의 계절적 변동 6) 구조물에 인접하여 터파기할 경우 : 지하수위 저하 및 지반의 이동으로 침하 7) 옹벽, 석축, 사면 등의 상부지역에 축조된 경우 : 사면이동하여 변형 발생 8) 서로 다른 지반에 걸쳐 축조된 경우 : 압축량의 차이 ---> 대책방법 (부등침하) 1) 토질 특성에 맞는..
1. 정의 말뚝주변의 지반 침하량이 말뚝의 침하량보다 클 때 말뚝 주변 마찰력이 아래쪽으로 작용한다. 이를 Negative Skin Friction이라 한다. 2. 발생원인 (흙의 하중과 물) (1) 자중에 의한 압밀이 진행중일 때 (2) 연약층 위에 새로운 상재하중이 부과될 때 (3) 주위 지반의 굴착에 의해 지하수위의 저하로 유효응력이 증가할 때 (4) 연약지반 말뚝타설시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한 후 시간이 경과후 과잉간극수압이 소산할 경우 3. 부마찰력이 발생하는 깊이 (1) 중립점 위에서만 발생한다. : 지반침하와 말뚝침하가 같아서 상대적 이동이 없게 되며 이와 같이 부마찰력이 정마찰력으로 변화하는 점 (2) 부마찰력이 작용하는 중립점까지의 두께 : nH (n : 지반에 따른 계수, H : 압밀층 두..
1. 기초의 정의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하부의 지반에 전달하고, 허용이상의 침하, 경사, 이동, 변형, 진동 등의 장애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기초의 분류 (1) 얕은기초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직접지반을 전달시키는 형태로, 구조물의 지지층이 얕은 깊이에 있을 경우로서 기초의 단변 B와 근입깊이 Df와의 비가 1.0이하 (Df/B < 1.0)인 경우를 말한다. 1) 확대기초 : 상부하중을 기초바닥에 넓게 퍼지게 하기 위해 기초의 밑면을 넓게 만든 기초 독립확대기초 : 1개의 기둥을 독립된 1개의 기초로 지지 연속확대기초 : 기둥이나 벽이 잇달아 있을 때, 이들 하중을 띠 모양의 기초로 지지 복합확대기초 : 2개 이상의 기둥을 지지 2) 전면기초 : 확대기초로서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1. 홍수재해 방지 위한 제해대책 (1) 제체누수의 원인과 대책 1) 제방단면의 부족 --> 단면의 확보, 불투수층으로 비탈면 피복, 압성토 설치 2) 성토재료의 불량 및 다짐불량 --> 재료관리 및 선정시험 실시, 시험성토에 의한 다짐관리 3) 침윤선 저하 위한 Filter Zone 시공 (2) 지반누수의 원인과 대책 1) 지반의 투수성이 클 경우 --> 차수벽 설치(그라우팅), 지수벽 설치, 배수로 설치 2) 기초지반 처리불량 --> 연약지반처리 3) 제체와의 이질성 2. 홍수재해 방지를 위한 수자원개발 (1) 다목적 댐의 건설 (2) 유역단위의 종합적인 홍수관리시스템 상류 : 저류기능 중류 : 억제기능 하류 : 배수기능 3. 홍수재해 방지 위한 하천개수계획 (1) 정기적인 준설로 유수 단면적의 확보..
제방의 안정성 1. 제방의 조건 (1) 홍수시 물이 제방을 월류해서는 안된다. (2) 수위가 급강하시 비탈면의 활동에 대해 안전 (3) 연약지반에 축제시 침하와 파괴에 대해 안전 (4) 제체 및 기초지반이 투수성일 경우 누수 및 파이핑에 대해 안전 (5) 강우가 침투하여 제체의 함수비가 상승할 경우 비탈면 붕괴에 대해 안전 2. 제방활동에 대한 안정 (1) 원호활동을 고려하여 안정계산에서 안전율은 표의 값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2) 간극수압과 연직붕괴도 고려하여 결정한다. 3. 제방 비탈면 안정 (1) 전응력 분석방법은 단기간의 안정분석 또는 공사완료 직후에 비배수 전단강도를 이용한다. (2) 유효응력 분석방법은 장기간의 분석에 배수 전단강도를 이용한다. 4. 제방 누수에 대한 안정 (1) 제방누..
토공사의 목적에 따른 장비선정방식 1. 서론 토공사에 있어서 장비선정은 토질에 따라 달라지므로 시험시공에 의해 결정해야 하며, 경제적인 조합이 되도록 해야 한다. 토공장비의 선정분류는 다음과 같다. 2. 작업종류별 장비선정 1) 벌개제근 : 불도져, 레이크 도져 2) 표토제거 : 불도져 3) 굴착 : 불도져, 쇼벌계 굴착기 4) 적재 : 쇼벌계 굴착기, 페이로다 5) 운반 : 불도져, 덤프트럭, 벨트콘베이어, 스크레이퍼 6) 고르기 : 불도져, 모타 그레이더 7) 다짐 : 롤러(진동롤러, 타이어롤러, 로드롤러, 탬핑롤러), 불도져, 진동콤팩터, 램머 8) 측구파기 : 트랜쳐 9) 함수비조절 : 살수차 3. 공사규모별 장비선정 공사규모에 따라 기계화 시공의 여부 및 장비규모를 경제적으로 선정해야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