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14년 6월경 출처 : 네이버블로그, 현재는 삭제된 계정임 관련내용자료 공부하면서 참 헷갈렸던 부분이다. 같은듯 다른 신뢰도기반 설계법인 한계상태설계법(LSD)과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 설계엔지니어나 소프트웨어분야 내지는 학계에 계신 분들은 업무상 내지는 세미나 등을 통해 이들의 차이를 분명히 이해하겠지만, 나같이 구석진 현장에서 남들이 올려놓은 글과 한, 두권의 참고서적을 통해 그 차이를 이해하고자 했던 사람에게는 너무나 헷갈렸던 부분이다. 신뢰도기반의 설계법은 한계상태를 정의하고, 정의된 한계상태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라는 측면에서는 같지만, 실상 중요한 것은 그 같은 부분이 아니라 어떻게 다른가이다. 참 고뇌가 묻어 있는 글입니다. 저도 사실 잘 내용을 모르지만, 글..
작성일 : 2014년 9월경 출처 : 네이버포스트에서 수집된 자료 현재는 삭제된 자료임 2015년부터는 신뢰도 기반설계법인 한계상태설계법에 의한 도로교설계기준이 적용된다. 강구조설계기준의 경우, 2009년 전,후로 허용응력설계법으로 변경되었고, 콘크리트구조기준만 아직까지는 기존의 강도설계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머지않아 대세를 따를 것이다. 늘 새로운 것이 적용되면 기존의 것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마련이다. 나 또한 지난번 토목구조기술사 면접때 위와 같은 질문을 받았던 기억이 나는데... 나름 알고 있는 부분이였지만 막상 설명하려니 말문이 막혔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세가지 설계법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고, 과연 한계상태설계법은 기존 설계법과 어떤 측면에서 다른지 정리해 볼 것이다...
2012년도판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입니다. 국토해양부에서 발간하였습니다. 다운로드 주소 : http://roaddesign.kict.re.kr/
2011년도 연구보고서 (연구원-2012-15-534.9607호) 한게상태설계법 도로교설계기준 설계실무편람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Manuals using Limit State Bridge Design Code)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관련 사이트 주소 : http://kiss.kstudy.com/public/public3-article.asp?key=60012548 여기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