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캐드정보] CAD Virus 치료방법_검색하여 치료하기생활정보 2018. 7. 6. 15:02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이번에는 캐드바이러스를 잡는 아주 원시적인 방법을 정리할까 합니다. 윈도우 프로그램상에서 CAD Virus를 검색으로 찾아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1. 윈도우키+f 누른다. (찾기) 2. 모든 파일 및 폴더 클릭 전부를 할꺼면 내컴퓨터를 클릭하고 검색하면 됩니다. 3. 고급옵션의 숨긴파일 및 폴더 검색 체크를 합니다. 4. 다음 파일을 검색합니다. 1) acad.vlx 2) logo.gif 3) acaddoc.lsp 4) acad.fas 5) acaddoc.fas 6) acadapp.lsp 7) acadapq.lsp 8) cad.fas 9) acad.lsp 10) acad.reg 11) acadiso.lsp 5. 검색된 파일을 모두 삭제합니다. 이상으로 검색을 통해 캐드 바이러..
-
[캐드정보] CAD Virus 치료방법_프로그램 이용생활정보 2018. 7. 6. 14:41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세번째로 캐드바이러스의 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손쉽고, 빠른 방법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1. ArchiOffice CAD 바이러스 Checker (무료) http://archioffice.co.kr/service/pds/view.do?uid=2370&type=archioffice (직접 다운로드) 2. SenCure Gen (쎈큐어 젠) (유료) https://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GWS_000614 (다운로드) 검색은 무료, 치료는 유료, 패턴을 검색하여 신변종 바이러스 대처능력이 있다고 합니다. 치료는 둘째고 감염여부를 알수 있다고 합니다. SENTOOLS 프..
-
[캐드정보] CAD Virus 치료방법_다른 파일들 확인생활정보 2018. 7. 6. 14:14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첫번째로 batch파일을 사용해서 캐드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그게 전부가 아니라고 합니다. 1. 다른 파일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mnl파일, 설치시 정상적인 리습파일) 이 리습 캐드 바이러스는 단순히 자기만 복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mnl파일이나 설치시 함께 설치되는 정상적인 리습파일들에게 코드를 복제합니다. 이 파일들을 열어봐서 바이러스 리습에 해당하는 문구를 찾아서 지워주어야 합니다. 문제는 잘 모르시는 분들이 건들면 힘들어진다는 점입니다. 어떤 파일을 열어서 필요없는 부분이 먼지? 확인이 필요한데. 잘 모른다. 그것에 지금 문제입니다. 우선 릴렉스 하고 알아보면요. 1) 확인 1 acad.mnl파일을 열어 아래부분의 코드 삭제 (load "acadapq")..
-
[캐드정보] CAD Virus 치료방법_batch파일 사용_del_acaddoc.bat생활정보 2018. 7. 6. 13:44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이번엔 캐드바이러스의 치료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볼까 합니다. 작업을 하다가 보면, 나만의 노하우나 정보를 공유하거나 인터넷의 정보를 습득하게 되는데요. 이것을 잘 내것으로 정리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양해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치료방법_del_acaddoc.bat - AutoCAD 종료 - acad.lsp, acaddoc.lsp을 일일이 찾아서 지웁니다. - acadapp.lsp, acadapq.lsp 이 2가지가 발견되면 꼭 지우세요. (안지우면 다시 또 생깁니다.) 일일이 찾아서 지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그래서 방법론적으로 하나하나 찾아보면 인터넷이 유표된 del_acaddoc.bat파일을 사용해 지우는 방법입니다. 제..
-
[캐드정보] CAD Virus 증상과 관련파일생활정보 2018. 7. 6. 13:29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저는 캐드업무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업무를 하다가 보면 이것저것 모르는 것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CAD Virus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 볼까합니다. 첫번째로, 캐드바이러스의 증상, 관련파일을 정리해 봅니다. 1. 증상 일반적인 바이러스와는 달리 CAD 바이러스의 경우 현재까지 알고 있기로는 그닥 심각한 놈은 아닙니다. 바이러스 LISP이라고 하는데, 일단 걸리게 되면 아주 귀찮은 존재입니다. 이 바이러스 LISP의 경우 쉽게 퍼지는 이유는 캐드작업을 하기 위해 캐드를 띄우면 자동으로 발생/로드 되기 때문입니다. 1) acaddoc.lsp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증상 - acad.mnl파일이 있는 폴더의 모든 mnl파일에 바이러스 구문이 추가됩니다. - support폴더에 있..
-
[유틸리티] ArchiOffice CadVirus Checker생활정보 2018. 7. 6. 10:54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ArchiOffice CadVirus Checker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업무로 캐드설계를 하다 보니 수많은 캐드파일을 접하게 됩니다. 파일도 공유하고, 작업하다가 보면 수시로 바이러스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지만, 알지도 못하고, 그냥 무관심으로 일관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치료법을 찾다가 보면 알게 되는 프로그램임 ArchiOffice CadVirus Checker 알고 있다가도 또 까먹고, 그래서 아예 블로그에 글을 써봅니다. 우선 설치화면을 보면 경고 :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작권법과 국제 협약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 배포하는 행위는 민사 및 형사법에 의해 엄격히 규제되어 있으며, 기소 사유가 됩니다. 파일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