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빠육아-임신성당뇨 정보분석카테고리 없음 2019. 10. 26. 23:23728x90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기엄마 출산을 하면서 받은 자료를 스캔받아 정리해 볼까합니다.
우선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편해야 하니까.
나름대로 깔끔하게 정리해겠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후 발견되거나 발병한 당뇨병을 말합니다.
음식으로 섭취된 당을 체내의 장기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필요한데, 임신 중에는 태아에게 영양분을 전달해 주기 위해 여러 호르몬이 작용하여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하게 되고 이러한 인슐린저항성으로 인해 혈당이 상승하게 됩니다.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보통 발생하며, 빈도는 3~14% 정도입니다.
고령, 다산, 가족력, 쌍둥이, 과체중 등이 발생위험인자입니다.
일반 당뇨병과는 조금 다르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임신 후 발견되는.. 발병한 당뇨병
당뇨병이야 인슐린 문제인 것은 맞는데, 문제는 태아와 연관이 되어 있다는 점으로 판단되네요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
1) 임신 24주~28주에 50g 포토장을 복용하고 1시간 후 혈당수치가 140mg/dl 이상인 경우 정밀검사를 실시합니다.
2) 정밀검사는 공복 8시간 이후 75g 포도당을 복용하고 2시간동안 당부하검사를 실시합니다.
이 검사가 상당히 힘든 검사입니다.
공복에 해야 하고, 임신한 엄마들이 상당히 괴로워합니다.
우리 아내도 상당히 힘들어 했습니다.
전세계 2만 5천여명 산모의 평균 혈당 = 공복 81mg/dl, 식후 1시간 133mg/dl, 2시간 122mg/dl
당뇨병과 태아
1) 거대아
임신중기 이후의 고혈당은 태아에게 과다한 영양소의 전달을 가져와 태아의 과도한 성장을 촉진시켜 거대아가 될 수 있습니다. 역시 중요합니다.
2) 태아미성숙
임신초기의 고혈당은 초기 유산 및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신후기의 고혈당은 폐성숙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신생아 저혈당증 및 대사이상
태아에게 전해진 고혈당은 태아의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초래하여 출생 후 저혈당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과 산모
임신중독증
산모의 고혈당은 고혈압 및 단백뇨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기분만
태아가 거대아일 경우 조기 분만을 유도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난산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
양수과다증세균감염
혈당조절의 목표
1) 식전 95이하
2) 식후1시간 : 140이하
3) 식후2시간 : 120이하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
1) 자가혈당측정
자가혈당측정은 보통 하루 4회 정도(공복, 아침, 점심, 저녁 식후 1~2시간) 측정하며, 혈당조절이 양호할 경우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공복 또는 식전 혈당보다는 식후 혈당조절에 비중을 두어야 합니다.
2) 식사 및 운동요법
식사관리는 임신성 당뇨병의 기본으로, 임신 중 필요한 칼로리와 영양소를 충족하며 체중증가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벼운 운동 (식후 20~30분/1~2회 걷기)도 혈당조절과 과도한 태아성장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약물요법
영양요법과 운동으로 목표혈당에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슐린 등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4) 산전검진
임신성 당뇨병의 산모는 정상산모에 비해 보다 규칙적이고 정밀한 산전검진이 요구됩니다.
5) 분만 후 관리
국내통계에 의하면 임신성 당뇨병 산모는 분만 5년이 지나면 35~50% 정도에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분만 후 6~12주 후에 방문하시어 75g 경구 당부하검사를 받으시고, 1년 1회 혈당검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관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표준체중관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무엇을 먹는가? 얼마나 많이 먹는가? 언제먹는가?
제일로 중요한 질문인데, 쉽게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1) 단순당이 많이 함유된 음식섭취를 제한합니다.
2) 섬유소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3) 싱겁게 먹습니다.
4) 식사는 천천히 합니다.
5) 영양교육 받은대로 식사량을 지킵니다.
6)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정해진 분량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
7) 하루 3끼의 식사와 2~3회의 간식을 먹습니다.
8) 매일 6가지 식품군(곡류, 어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을 골고루 섭취합니다.
9) 설탕, 꿀, 시럽, 젤리, 찜 등의 단순당은 섭취를 제한합니다.
10) 동물성 지방의 섭취량을 줄입니다.
11) 공복시간이 길어지지 않게 야식을 섭취합니다.
728x90728x90